[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 조선의 품계는 기본적으로 9품입니다. 그리고 그 품을 다시 정과 종으로 나누어 19품이 되죠. 즉 정 1품, 종 1품, 정2품, 종 2품 이런 순서입니다. 하지만 시대와 필요에 따라 여러 품계의 벼슬이 나타나고 사라지기도 합니다. 어쨌든 기본 9품, 각 품계를 정종으로 나우어 18품. 이것이 기본입니다.
◈ 품계 - 위계. 관계 - 관리의 등급
◈ 조선시대 품계 - 태조가 즉위한 후 문무백관의 제도를 정할 때 문무의 위계도 정하여 동서양반으로 나누고 고려시대의 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였다. 그 후 동반은 거의 변천이 없었으나 서반은 여러 번 병제상의 개혁에 따라서 변혁을 보다가 경국대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위계 제도도 확립되었다.
◈ 동반관직 - 문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종9품)까지 18품계.
서반관직 - 무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 종9품)까지 18품계.
◈ 관직의 정식 명칭 - 계(품계의 명칭)· 사(소속된 관청)· 직(맡은 직분)순으로 썼다.
※ 대광보국숭록대부 · 의정부 · 영의정 - 대광보국숭록대부 - 계(품계의 명칭)
- 의정부 - 사(소속된 관청)
- 영의정 - 직(맡은 직분)
정 1품
⊙ 대군(군 : 정일품에서 종 2품까지). 공신. 부원군(왕비의 친정 아버지)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 사부(세자 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 위(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함)
⊙ 감사(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종 1품
⊙ 군. 위.
⊙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학(규장각의 관직).
⊙ 사부(세손 강서원의 관직)
정 2품
⊙ 군. 좌참찬. 우참찬. 판서. 대제학. 지사. 판교(규장각의 관직). 판윤. 좌빈객. 우빈객. 도총관
종 2품
⊙ 군. 참판. 대사헌. 동지사. 관찰사(도의감사). 좌윤. 우윤.
직제학(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
목사(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 좌부빈객. 우부빈객. 제조.
좌유선. 우유선(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정三품까지 있음).
부총관. 중군(정三품까지 있음). 사(무관).
병마절도사(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방어사(종三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 겸사복장. 내금위장. 별장(용호령).
정3품
⊙ 부위(공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도정. 대사간. 대사정. 참의. 부제학. 도청. 도정원정. 좌유선. 우유선.
첨지사. 직각(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제주. 찬선. 보덕. 겸보덕. 판결사. 대장. 정. 시. 원. 감. 사. 좌통례. 우통례. 판교. 수찬관. 편수관(종三품까지 있음).
제검(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종九품까지 있음). 별장(훈련도감).
천총(훈련도감). 상호군. 중군. 진영장(목사가 겸임함). 목사. 사림위장.
부사(대도호부). 국별장. 별후부천총. 기사장. 관성장
종3품
⊙ 첨위. 부정. 집의. 사간. 전한. 사성. 편수관. 참교. 상례. 익례.
내승(종九품까지 있음). 제거. 제검. 부사. 대호군.
진영장(부사가 겸임함). 절도사. 방어사. 첨절제사.
우후(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 선전관.
정4품
⊙ 수정. 전첨. 사인. 장령. 시강관. 응교. 진선. 필선. 겸필선. 사예. 사업.
봉례. 호군. 별제(수성금화사의 관직). 첨정(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
도선. 우후. 제검(종四품까지 있음).
종4품
⊙ 경력. 부응교. 서윤. 수(사). 창. 부수. 교감. 부호군. 군수. 유영별장.
성기별장. 파총. 외방겸파총. 선전관. 제검. 동첨절제사. 만호.
정5품
⊙ 령(종친부의 벼슬). 전부. 검상. 정랑. 지평. 좌익위. 우익위. 사의. 헌납.
시독관. 교리. 겸교리. 문학. 겸문학. 직강. 기주관(종五품까지 있음).
찬의. 별좌(종五품까지 있음). 전훈. 전수. 사직.
종5품
⊙ 부령(종친부의 벼슬). 판관. 도사(종九품까지 있음). 별좌. 부교리.
좌권독. 우권독. 좌사어. 우사어. 기주관. 령(서). 궁. 고. 현령. 부사직. 선전관.
정6품
⊙ 감(종친부의 벼슬). 좌랑. 감찰. 사평. 정언. 검토관. 수찬. 사서. 겸사서.
전적. 기사관(정九품까지 있음). 교검. 전악. 사회.
별제(종六품까지 있음). 평사. 사과. 장원. 사포. 좌익찬. 우익찬.
종6품
⊙ 주학교수. 별전수. 율학교수. 별제. 천문학교수. 지리학교수.
천문학겸교수. 지리학겸교수. 명과학교수. 교수. 부수찬. 좌찬독. 우찬독.
좌위솔. 우위솔. 좌장사. 우장사. 기사관. 인의. 부전악. 사축. 사지.
의학교수. 한학교수. 선화. 부전수. 영(능). 찰방. 현감. 절제도위. 감목관.
종사관. 부장. 낭청(선혜청의 벼슬). 부사과. 수문장(종九품까지 있음).
정7품
⊙ 주서. 봉교. 대교(정九품까지 있음). 박사. 사변가주서. 사경. 설저.
겸설서. 자의. 전률. 참군. 좌부솔. 우부솔. 낭청. 기사관. 수문장.
종7품
⊙ 직장. 좌종사. 우종사. 사(호조의 벼슬). 명률. 부전률. 선회. 부사정.
별회.
정8품
⊙ 사록. 저작. 설경. 학정. 부직장. 좌시직. 우시직. 전음.
별검(종八품까지있음). 사맹.
종8품
⊙ 계사. 심율. 봉사. 부전음. 별검. 전곡. 화리. 부사맹.
정9품
⊙ 주학훈도. 율학훈도. 정자. 전경. 검열. 좌세마. 우세마. 학록. 부봉사.
전성. 천문학훈도. 지리학훈도. 명과학훈도. 의학훈도. 한학훈도.
몽학훈도. 왜학훈도. 여진학훈도. 사용.
종9품
⊙ 회사. 부정자. 분교관. 학유. 겸인의. 가인의. 참봉. 감역관. 가감역관.
부전성. 전화. 회리. 권관. 훈도. 심약. 검률. 부사용. 초관.
아래표는 알기 쉽게 해 놓았으니 참고하세요.
구 분 |
문 관 |
무 관 |
지방직 |
현 대 |
정1품 |
영의정 좌의정 |
우의정 도제조 |
영사 도제조 대장 |
국무총리 |
종1품 |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 |
판사 |
|
부총리 |
정2품 |
지사 판서 좌참찬 |
우참찬 대제학 |
지사 제조 도총관 |
장관 차관 본부장대장 도지사 |
종2품 |
동지사 참판 상선 |
동지사 부총관 |
관찰사 부윤 병마절도사 |
차관보 중장 |
정3품 |
참의 직제학 |
첨지사 별장 |
목사 병마절제사 |
관리관 소장 |
종3품 |
집의 사간 |
대호군 부장 |
도호부사 병마첨절제사 |
이사관 국장 준장 |
정4품 |
사인 장령 |
군호 |
|
부이사관 대령 |
종4품 |
경력 첨정 |
경력 부호군 첨정 |
군수 병마동첨절제사 |
중령 |
정5품 |
정랑 별좌 교리 |
사직 |
|
서기관 소령 군수 |
종5품 |
도사 판관 |
도사 부사직 판관 |
도사 판관 현령 |
부군수 |
정6품 |
좌랑 별제 |
|
|
사무관 대위 면장 |
종6품 |
주부 교수 |
부장 수문장 종사관 |
찰방 현감 교수 병마절제도위 |
|
정7품 |
박사 |
사정 참군 |
|
주사 계장 중위 |
종7품 |
직장 |
부사정 |
|
|
정8품 |
저작 |
사맹 |
|
주사보 소위 준위 |
종8품 |
봉사 |
부사맹 |
|
|
정9품 |
부봉사 정자 훈도 |
사용 |
|
서기 상사 중사 |
종9품 |
참봉 |
부사용 별장 |
|
|
정1품부터 종3품까지를 당상관이라 하며 그 아래부터는 당하관이라 합니다.
그리고 국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직위는 당상관까지 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18 품계에 30 단계의 벼슬 체계입니다.
총9품까지 있으며 각 품계에는 정과 종이 있습니다.
그리고 6품까지는 다시 상 , 하 로 나누어지므로 총4단계로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6품 까지는 4 단계, 7~9 품까지는 2단계 -> 총 30 단계
이외에 참상관과 참하관이 있는데요, 이는 사또 즉 마을 수령이 될수 있는 직위입니다.
6품이상을 참상관, 이하를 참하관이라고 하였습니다.
보통 과거에 합격하면 마을 수령(사또)가 될 수 있는데 최하가 6품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선시대 지방관제상 현이 가장 작은데, 이 사또가 현감입니다.
과거에 합격해서 지방수령이 되었다면 보통 현감입니다.
'전주이씨 운천군파 (비금소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관직 품계(朝鮮 時代 官職 品階) (0) | 2012.12.21 |
---|---|
조선시대의 관청 (0) | 2012.12.21 |
조선시대 의원(의사)들의 관직 품계 (0) | 2012.12.21 |
조선시대 내명부와 외명부 (0) | 2012.12.21 |
조선시대 품계와 현 직급 (0) | 2012.12.21 |